본문 바로가기
APM, 아티클

[기술 아티클] DevOps 문화 안에서의 APM의 역할 [1] (DevOps+JENNIFER)

by 제니퍼소프트 2017. 7. 24.




DevOps의 시작
언제나 그랬듯이 소프트웨어 개발 트렌드는 계속 변화하고 있다. A부터 Z까지 모든 것을 새롭게 개발했던 것과 달리 아키텍처나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개방형 플랫폼이나 오픈소스 등을 활용하여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쉽게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클라우드로 인해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개발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타나고 있다. 기존의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는 물리적 서버 준비, 운영체제 설치, 서비스 배포 등에 수많은 시간이 걸렸지만, 클라우드를 활용하면서 단시간에 원하는 자원을 준비하고 배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개발자의 영역이 좀 더 넓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전통적인 비즈니스 환경에서 개발, 빌드, 테스트, 배포, 운영에 이르는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되어 고객의 요구 사항을 빠르게 반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DevOps의 시작이다. 하지만 다양한 오픈소스의 탄생과 클라우드 환경의 확산 등으로 인해 정말로 새로운 기능에 대한 개발이 빨라졌을까? 그렇다면 이에 따른 문제는 없을까?
 
개발 프로세스의 병목 구간
DevOps의 필수 조건인 테스트 및 배포의 자동화가 이뤄지면 운영 단계에서는 반영된 사항들에 대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 만약에 반영된 소스 코드에 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잠재적 버그가 존재한다면 이를 어떻게 운영 단계에서 찾을 수 있을까? 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의 피크타임에 부하가 급증한다면 앞서 말한 상황에 대한 버그가 발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하지만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단순히 트래픽 문제로 속단할 수는 없다.
직접 개발한 소프트웨어만의 문제가 아닐 수도 있으며, 제품 개발 시 생산성 향상을 위해 도입된 다른 종류의 오픈소스에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실은 이런 유의 프로젝트들은 상용 제품이 아니므로 문제가 발생하면 상당히 곤란한 경우가 생기곤 한다. DevOps를 위한 환경이 구성되고, 고객의 요구 사항을 빠르게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졌더라도 결국에는 앞서 말한 다양한 종류의 잠재적, 환경적인 문제들로 인해 병목이 발생할 수 있다.
 
 



모니터링 단계에서 APM의 역할
개발 프로세스의 마지막 관문인 모니터링 단계는 DevOps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미 반영된 실제 서비스에서 모니터링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피드백 수집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앞서 말했던 장애의 원인을 빠르게 진단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많은 시간이 소모되기도 하기도 하며, 이는 바로 생산성 저하로 이어진다. 또한 새로운 프로세스 진행을 더욱더 보수적으로 만드는 원인이 된다.
DevOps를 완벽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단계에서 서비스 배포 이후의 서버에 들어오는 트랜잭션에 대한 상태를 배포 전과 비교할 수 있어야 하며, 응답을 지연시킬만한 요소들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배포된 소스 코드로 인해 서비스 장애가 발생하는 상황이 온다면 이를 처리하기 전까지 어떻게든 서비스 장애를 지연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DevOps 진영에서는 APM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우리는 제니퍼를 통해 앞서 말한 기능들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모니터링 프로세스
모니터링 단계는 아래 그림과 같이 문제의 발견 및 조치, 문제 해결 시 재배포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제니퍼 대시보드를 통해 액티브 서비스 상태와 트랜잭션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데, 만약에 새로 배포된 소스 코드에 문제가 있다면 처리 중인 액티브 서비스가 쌓이게 되고, 트랜잭션 분포도 차트는 기존에 그려졌던 패턴과 다르게 보이게 된다.
이런 시점에 운영에서는 설정 여부에 따라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E-Mail이나 SMS, Slack과 같은 메신저 등으로 각각의 담당자들에게 서비스 상태를 알려줄 수 있으며, 담당자에게 이벤트 메시지가 전달되었다면 제니퍼를 통해 두 가지 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먼저 개발자는 스마트 프로파일링 기능을 통해 원인 분석을 하고, 운영에서는 서비스가 최악의 상태가 되기 전에 트랜잭션 유입을 차단하여 다른 화면으로 리다이렉트 시켜주는 PLC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제니퍼에서는 서버에서 하나의 요청에 대한 처리가 끝나면 곧바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트랜잭션이라 하며, 현재 수행 중인 상태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액티브 서비스라고 정의한다.




  
 
모니터링 기준 값 설정
서비스를 배포하기 전에 모니터링 단계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니퍼 관리 화면에서 몇 가지 설정을 해야 한다. 먼저 서비스 장애 발생 시 이벤트 알림 및 서비스 부하량 제어 설정의 기준이 되는 값인 전체 에이전트의 평균 액티브 서비스 개수를 알아야 한다. 하지만 서비스가 운영되는 환경에 따라 기준 값이 너무 다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시점에 대략적으로 기준 값을 정하면 된다.

에이전트란 모니터링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기생하여 성능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모듈을 말한다. 참고로 모니터링 대상 애플리케이션은 플랫폼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WAS(Web Application Server)나 웹 서버를 말한다.

 


 
액티브 서비스는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서비스 장애의 원인 분석을 위한 데이터로는 적합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액티브 서비스 개수는 기준 값이 될 수 없으며, 개발자는 처리가 완료된 트랜잭션 데이터의 응답시간을 기준 값으로 제니퍼의 프로파일링 관련 설정을 해야 한다. 설정된 값을 기준으로 트랜잭션 분포도 차트에서 가상의 선을 긋고, 그 선 위에 있는 트랜잭션을 대상으로 스마트 프로파일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모니터링 단계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APM의 역할과 필요성 대한 이야기를 했다. 다음 편에서는 본격적으로 제니퍼를 활용하여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어떻게 수행하는지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